지정학 2

한쪽 의존 외교가 불러온 현실과 다변화의 길 제 6편 – 남미·아프리카·중동: 신흥 파트너들의 부상

1. 서론 – 세계의 무게 중심은 이동한다지난 세기 동안 국제 질서는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 최근 수십 년은 미·중 경쟁이 세계 질서를 규정해 왔다. 그러나 미래의 무게 중심은 점차 남반구로 이동하고 있다. 남미, 아프리카, 중동은 더 이상 변방이 아니다. 이들은 자원과 인구, 시장과 문화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세계 질서의 균형추로 부상하고 있다.한국이 미국과 중국, 러시아, 유럽에만 시선을 고정한다면, 다변화 외교의 절반을 놓치는 셈이다. 이제 우리는 신흥 파트너들과의 연대 속에서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한다. 남미·아프리카·중동은 한국의 미래를 위한 또 하나의 창이다.2. 남미 – 자원의 보고, 새로운 시장남미는 한국에 있어 아직 낯선 대륙이다. 그러나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칠레와..

삶의 지혜 2025.10.13

한쪽 의존 외교가 불러온 현실과 다변화의 길 제 5편 – 북한: 갈등과 공존 사이의 선택

1. 서론 – 같은 뿌리, 다른 현실한반도는 세계에서 가장 길고 날카로운 분단선을 품고 있다. 70여 년의 분단 동안 남과 북은 서로를 향해 총부리를 겨누고 있지만, 동시에 뗄 수 없는 혈연적·역사적 뿌리를 공유한다. 국제사회가 북한을 ‘위협’이라는 단어로 규정하는 동안, 한국은 단순히 위협을 넘어선 복잡한 감정을 안고 살아왔다. 북한은 위기이자 미래의 변수이며, 남북 관계는 한국 외교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한국은 미국·중국이라는 강대국 틈바구니 속에서 늘 수동적 위치에 놓여왔다. 북한 문제 또한 예외가 아니다. 남북문제는 언제나 워싱턴과 베이징, 때로는 모스크바와 도쿄의 이해관계 속에서 다뤄졌다. 그러나 한국이 주체성을 회복하려면 북한을 단순 관리 대상으로만 둘 수 없다. 남북 관계는 한국 미..

삶의 지혜 2025.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