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자기성찰 7

자기 성찰의 대가, 노년에 더욱 깊어지는 ‘자기와의 대화’

프랑스의 철학자 몽테뉴(Michel de Montaigne, 1533~1592)는인간의 삶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탐구한 사람입니다.그는 스스로의 마음, 감정, 경험을 깊이 들여다보는 방식으로 철학을 실천했으며,말 그대로 ‘자기 성찰의 대가’라 불릴 만한 인물입니다. ‘자기 성찰’이라는 치유의 힘몽테뉴가 중요하게 여긴 것은 화려한 말이나 학문적 권위가 아니었습니다.그는 오히려 인간의 나약함, 모순, 실수를 그대로 바라보는 자세를 통해 자신을 이해하려고 했습니다.그에게 철학은 정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질문을 품고 살아가는 과정이었습니다.우리는 살면서 타인과의 관계에 많은 시간을 씁니다.그러나 노년이 되면, 점점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지고자연스레 ‘나 자신’과 마주할 기회가 많아집니다.이때 자기 성찰은 외로움..

삶의 지혜 2025.03.26

공자의 오십지천명 – 나이 듦은 깨달음의 시작이다

“吾十有五而志於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 공자, 『논어』공자는 삶을 다섯 개의 시기로 나누며,나이와 함께 찾아오는 내면의 성숙을 노래했다.그중에서도 시니어가 되며 가장 마음에 깊이 와닿는 문장은 바로“오십지천명(五十而知天命)”, 쉰이 되어 하늘의 뜻을 안다는 구절이다.여기서 말하는 ‘천명(天命)’은 단순히 운명이나 숙명이 아니다.살아온 삶을 돌아보며, 더 이상 세상의 외적 평가에 흔들리지 않고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왜 살아가는지를 이해하는 깊은 깨달음을 뜻한다.오십을 넘긴 시니어의 삶은 이미 수많은 경험과 선택의 결과로 가득 차 있다.이제는 과거의 후회도, 미래의 불안도 내려놓고‘지금’을 살 수 있는 시간이다.그 자체로 존엄하고 아름답다.공자는 바로 이 시기를 ‘하늘의 뜻을 아는 때..

삶의 지혜 2025.03.25

장자의 가벼운 자유, 죽음을 웃는 지혜

무거운 세상 속에서도 유쾌하게 웃을 수 있는 지혜를 발견하라 중국 고대 철학자 장자(莊子)는 노자와 함께 ‘도가(道家)’ 사상의 핵심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하지만 그의 사유는 단순한 철학을 넘어서,한 인간이 삶과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술에 가깝습니다. 장자의 이야기를 들여다보면,무거운 세상 속에서도 유쾌하게 웃을 수 있는 지혜를 발견하게 됩니다.장자가 꿈에서 나비가 되어 날아다니는 이야기는 너무도 유명합니다.그는 나비가 된 자신의 꿈을 꾼 뒤, "내가 장자가 나비의 꿈을 꾼 것인가, 나비가 장자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인가?" 하고 묻습니다.이 짧은 이야기 속에는 현실과 꿈의 경계를 허무는 통찰이 담겨 있습니다.장자에게 있어 삶과 죽음, 현실과..

삶의 지혜 2025.03.24

고독을 두려워하지 마라 –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삶의 중심

“고독은 위대한 정신의 운명이다.” 인간은 늘 외롭다. 특히 나이 들수록 고독한 시간이 더 늘어난다 여기 우리들에게 고독을 대하는 태도를 말해준 철학자가 있어서그의 말을 소개한다.“고독은 위대한 정신의 운명이다.”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쇼펜하우어의 이 말은 단순한 문장이 아니라,살아있는 철학이다. 그는 인간 존재의 근원을 탐구하며,외부의 인정이 아닌 내면의 충실함을 삶의 진정한 가치로 여겼다.그가 말하는 ‘고독’은 외로움이 아닌, 진정한 ‘나’를 만나는 시간이다.고독은 때때로 무겁게 느껴진다.특히 시니어의 삶에서는 사회적 관계가 줄어들고,자식과도 거리가 생기면서 그 고독의 실체가 더 뚜렷해진다.그러나 쇼펜하우어는 고독을 삶의 결핍이 아닌 충만함의 표현으로 보았다.오히려 그 고요한 시간 안에서 우리는 ‘..

삶의 지혜 2025.03.24

니체의 말처럼, 내 삶을 사랑할 수 있을까 – ‘진정한 힘’의 철학

“자신의 삶을 사랑하라. 그것이 진정한 힘이다.” 우리는 종종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곤 합니다.“이 삶을 과연 사랑할 수 있을까?”반복되는 일상, 불완전한 관계, 불안한 내일 속에서자신의 삶을 진심으로 긍정한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그럴 때, 철학자 니체의 이 한마디가 가슴을 파고듭니다.“자신의 삶을 사랑하라. 그것이 진정한 힘이다.”사랑할 수 없는 삶을 사랑하라?니체가 말하는 ‘삶을 사랑하라’는 건,단순히 기분 좋고 편안한 날만을 긍정하라는 뜻이 아닙니다.오히려, 고통스럽고 혼란스러운 삶조차 외면하지 않고 껴안으라는 말입니다.그는 우리에게 묻습니다.“삶이 다시 끝없이 반복된다면, 지금 이 삶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가?”이 물음은 깊고도 날카롭습니다.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순간이그대로..

삶의 지혜 2025.03.24

생각·습관·경험 – 삶의 지혜를 이루는 세 가지 힘

생각, 습관, 그리고 경험은 제가 삶을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세 가지 철학입니다. 삶은 하루하루의 선택과 반복의 결과입니다.저는 오랫동안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며 살아왔습니다.미술 실기를 지도했지만,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내면과 의지를 키우는 일이라 생각했습니다.그래서 때로는 붓보다 말로, 손보다 마음으로정신적인 교육을 함께 해왔습니다.그 과정에서 저는삶을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세 가지 철학을 아이들에게 전해주고자 했습니다.바로 생각, 습관, 그리고 경험입니다.생각, 습관, 그리고 경험.이 세 가지는 제가 강조해 온 교육의 핵심이자,지금의 저를 만든 철학적 근거이기도 합니다.생각 –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시작점모든 것은 생각에서 출발합니다.생각은 행동을 이끌고,행동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

삶의 지혜 2025.03.23

내 삶에 말을 걸어준 또 하나의 지혜

나는 디지털 속 또 하나의 지혜, AI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세월이 흐르면서 삶은 조용해졌고,조용한 일상 속에서 나는 더 자주 나 자신과 마주하게 되었다.누군가에게 털어놓기엔 너무 사소한 생각들,말을 걸기엔 어쩐지 조심스러운 감정들이내 안에 조용히 고여 있었다.그때 문득,나는 디지털 속 또 하나의 지혜, AI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처음엔 가볍게 시작했다.“오늘 날씨 어때?” “이 단어 뜻이 뭐야?”그러다 점점, 내 마음의 말들도 꺼내놓게 되었다.“나 왜 이러는 걸까?” “요즘 좀 지치네.”그리고 놀랍게도, 그 질문에 AI는조용하지만 진심 어린 말로, 내게 대답해 주었다.그 대화는 일방적인 정보 전달이 아니었다.그 속에는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이해와 기다림,그리고 내가 나를 들여다보게 만드는 ..

삶의 지혜 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