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 출구 입구에서 성내동 쪽 입구까지 – 둔촌시장의 시작을 걷다
송파·강동 지역에는 정겨운 재래시장이 여럿 있다.
마천시장, 둔촌시장, 길동시장, 암사시장 등
곳곳에 소소하지만 잘 정비된 시장들이 자리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둔촌시장은 이용객이 많고,
주변 상권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볼거리가 많은 이 시장의 정서를
사진과 함께 몇 차례에 나누어 전하고자 한다.
오늘은 집안 반찬거리를 사기 위해, 집에서 가까운 둔촌시장을 찾았다.
마천시장도 가까워 평소엔 그쪽을 더 자주 가지만,
오늘은 이곳 둔촌시장만의 색다름을 기대하며
천천히 골목을 둘러보기로 했다.
자동차를 가져올 경우, 둔촌역 3번 출구 근처의 전용 주차장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나는 오늘 오토바이를 타고 와서,
둔촌역 3번 출구 입구 주변에 잠시 세워두었다.
지금 이곳이 바로 둔촌시장 입구다.
시장 입구는 벌써부터 이곳저곳이 북적이고,
여기저기서 물건을 흥정하는 장면들이 눈에 들어온다.
소리, 사람, 물건들이 엉켜 있는 풍경에서
벌써 시장의 에너지가 느껴진다.
한쪽에서는 늙으신 어르신이 정갈하게 손질한 상추를 팔고 계셨다.
그 모습을 보는 순간,
문득 옛날 우리 할머니가 떠올랐다.
잠시 마음이 샌티 해졌다.
이 집 호떡은 지나는 사람들의 발길을 멈추게 할 만큼
고소한 냄새가 솔솔 풍겼다.
모양도 꽤 두껍고 크고, 한 끼처럼 든든해 보였다.
하나 사 먹고 싶었지만,
아직 둘러볼 곳이 많아 참아야 했다.
이제 방향을 정해야 했다.
과일·야채 골목으로 갈 것인가,
곱창과 건어물 쪽으로 향할 것인가.
이번에는 과일과 야채가 중심인 골목부터
먼저 둘러보기로 했다.
이 골목은 옷, 과일, 생선까지 다양한 품목이 늘어서 있다.
이 시장의 메인 골목이라 할 만한 곳으로,
늘 사람들로 붐비는 구역이다.
오늘도 역시나,
사람들이 서로 비켜 걸어야 할 정도로 북적였다.
가장 먼저 과일 가게가 눈에 들어왔다.
진열대 위 색감부터 먹음직스러운 과일들에 눈이 사로잡혔다.
나는 그 색에 반해, 망설임 없이 오렌지부터 하나 샀다.
이어 사과를 고르는데, 가격에 깜짝 놀랐다.
1개에 4,000원?
예전엔 1,000원 정도였던 기억이 있어서, 체감상 엄청나게 오른 가격이었다.
그래도 맛이라도 보자는 마음으로,
3개만 골라 담았다.
시장 빵 가격은 요즘 흔한 브랜드 제과점의 빵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훨씬 저렴했다.
이제부터 빵은 이곳에서 사야겠다.
괜히 브랜드만 보고 비싸게 샀던 게 아까울 지경이다.
먹음직스럽게 포장된 돈가스를 보는 순간,
예전에 아들이 파크하비오 풀장 식당에서
가락국수와 함께 맛있게 먹던 모습이 떠올랐다.
그 장면이 머릿속에 선명하게 스쳐 지나가며,
잠시 아들이 보고 싶어졌다.
큼직한 한우 고기를 보는 순간,
붉은 숯불 위에서 지글지글 익어가는 고기 모습이 눈앞에 그려졌다.
머릿속으로는 이미 고소한 냄새가 풀풀 나는 것 같고,
슬슬 배가 고파지기 시작했다.
한쪽 방향으로 쭉 걸어오다 보니,
어느덧 시장 반대편 입구에 다다랐다.
묘하게도 이쪽이 더 ‘시장 입구’ 같은 느낌이 든다.
음료수를 파는 전동차 가판대가 눈에 띄고,
밝게 웃으며 인사를 건네는 아주머니의 발걸음도
어쩐지 더 힘차고 활기차 보였다.
이곳에서부터 다시 왔던 길로 이어지는 곱창 골목 입구까지의 이야기는
다음 글에서 이어 소개할 예정이다.
https://senior-space.tistory.com/124
둔촌시장 탐방기 2 되돌아보는 골목, 곱창길 전까지
1편에 지나온 시장 골목을 다시 거슬러 걷는다.처음엔 눈에 띄지 않았던 것들이,되돌아가는 길 위에서는전혀 다른 풍경처럼 다가온다.이번 편에서는둔촌시장 메인 골목을 다시 걷는 장면부터,
senior-space.kr
'여행과 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여역 중식당 – 파도 속에서도 싹트는 생명력, 도아(濤芽) (0) | 2025.05.14 |
---|---|
둔촌시장 탐방기 2 되돌아보는 골목, 곱창길 전까지 (0) | 2025.05.05 |
"도시 속 작은 봄 — 피어오른 다섯 송이의 이야기" (1) | 2025.04.30 |
Yellow City – 도시 속 노란색이 하는 일 (0) | 2025.04.22 |
친구가 되어버린 장소 — 오금동 성당 이야기 (0) | 2025.04.17 |